공공기술 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 (한국형 I- Corps 사업) 실험실창업탐색팀 공모 관련 2020년도 사업 안내서(안) |
2020. 2.
한 국 연 구 재 단
목 차
Ⅰ. 사업 개요 1
Ⅱ. 실험실창업탐색팀 추가 선정 5
1. 실험실창업탐색팀 공모 5
2. 선정방향 5
3. 팀 구성 원칙 6
4. 사업신청 7
5. 선정 방법 및 절차 7
6. 실험실창업탐색팀 선정 평가 지표 8
7. 사업비 지원 9
8. 실험실창업탐색팀 권리와 의무 10
Ⅲ. 실험실창업탐색팀 교육 및 창업보육 5
사업 개요
Ⅰ
□ 추진배경
○ 정부 R&D 예산 규모의 지속적 증가에 따라 공공연구성과의 경제 기여도 향상 필요성 제기
○ 연구실 소속 젊은 연구원 중심의 실험실 창업 활성화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신시장 개척과 혁신성장에 기여
- 창업기업이 전체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3%에 불과하나 새로운 일자리의 약 20%는 창업기업이 창출
- ‘11년 기준 미국 스탠포드대학 기술을 활용하여 약 4만개의 창업기업과 5백만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(경제적 부가가치로 환산하면 약 2.7조 달러로 우리나라 GDP(1.2조 달러)의 2배 이상의 가치)
□ 법적근거
◾과학기술기본법 제16조의 4(기술창업 활성화 등) ① 정부는 창의적인 아이디어, 신기술,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하여 문화 등 다양한 부문과의 융합을 촉진함으로써 기술창업을 활성화하고, 중소‧벤처기업의 과학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세우고 추진하여야 한다. ◾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제15조(기술이전ㆍ사업화 촉진사업의 추진) ① 정부는 기술이전·사업화의 지원, 사업화와 연계된 기술개발의 지원 등 기술이전·사업화 촉진사업을 추진하여야 한다. |
- 1 -
□ 주요 추진경과
○ ‘15년 한국형 아이코어 사업(시범사업) 추진
- 아이코어팀 10개 선정(‘15.6월), 창업교육 지원(’15.6.2~11.30)
○ ‘16년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 추진
- 기술창업혁신단 선정(‘16.4) : (국내)한국과학기술원, (국외)KIC- 워싱턴 D.C
- 기술창업탐색팀 40개 선정(‘16.5), 창업교육 지원(’16.5~‘17.1)
○ ‘17년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 추진
- 기술창업탐색팀 51개 선정(‘17.5월), 창업교육 지원(’17.5월~‘18.1월)
※ 창업중심대학 시범대학 운영(‘17.5월) : 한양대, 고려대, 연세대
○ ‘18년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 추진
- 국내 창업전문기관 선정 :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
- 실험실창업혁신단 추가 선정(‘18.5월) : 고려대, 성균관대
- 실험실창업탐색팀 60개 선정(‘18.5월), 창업교육 지원(’18.5월~‘19.1월)
○ ‘19년 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사업 추진
- 여성특화형 실험실창업혁신단 (‘19.4월) : 숙명여대
- 실험실창업탐색팀 70개 선정(‘19.5월), 창업교육 지원(’19.5월~‘20.1월)
□ 사업 내용
○ 사업 목적
- 기초·원천 연구성과의 사업화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인력을 양성하여 공공기술 활용을 통한 경제사회적 가치 창출
- 연구실 소속 연구원이 기술사업화를 주도할 수 있도록 실험실 창업탐색교육을 지원하여 시장친화적 연구개발 도모 및 창업 성공률 제고
- 2 -
○ 지원 대상
- (창업전문기관 및 실험실창업혁신단) 대학, 출연(연) 소속 연구원의 창업 수요를 발굴하고 미국 NSF I- Corps 프로그램 방법론을 활용한 창업탐색 활동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관
- (실험실창업탐색팀) 대학, 출연(연) 등이 보유·연구 중인 공공연구성과를 가지고 창업하고자 하는 대학(원)생, Post- Doc, 출연(연) 연구자 등으로 구성된 예비창업팀
○ (지원 내용) 대학, 출연(연)의 연구실에서 나온 기초·원천 연구성과가 빠른 시간 내에 시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‘Lab- to- Market’ 실험실 창업 교육 및 창업탐색 활동을 지원
구분 |
지원내용 |
국내창업전문기관 (한국청년기업가 정신재단) |
- 실험실창업탐색팀 기초 창업집체교육 전담 - 실험실창업탐색팀 권역별 국내 Customer discovery 추진·지원 - 실험실창업탐색팀 美 I- Corps 방법론 국내 적용을 통한 국내 교육형 창업팀 실전 창업 교육 추진·지원 - 창업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운영 및 창업탐색팀 수료식(데모데이) 개최 |
국외창업전문기관 (KIC- D.C) |
-실험실창업탐색팀 美 I- Corps 방법론을 활용한 국외창업탐색교육 전담 -해외 인스트럭터 pool 구축을 통한 심화멘토링 지원 -실험실창업탐색팀 해외 Customer discovery추진·지원 |
실험실창업혁신단 |
-실험실창업탐색팀의 창업교육 및 인큐베이션 경비(멘토링 등) -실험실창업탐색팀의 시제품제작 지원 경비 -실험실창업교육 인프라 지원비(창업 공간 지원 등) -실험실창업혁신단 운영관련 경비 ※ (여성특화형) 여성 Needs 맞춤 창업보육 추진 (해외특화형) 해외 창업·사업화 프로그램 추진 |
실험실창업탐색팀 |
-국내·외 기초/실전 창업탐색교육 -국내·외 창업 전문 인스트럭터를 통한 멘토링 -창업아이템 가시화를 위한 시제품 제작비 -수료식(데모데이)으로 전시, IR피칭을 통한 투자연계 |
- 3 -
○ 추진 체계 및 역할
과학기술정보통신부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사업 총괄 관리 및 사업 기본계획 수립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한국연구재단(전문기관)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사업지원 총괄, 권역별 실험실창업혁신단 선정,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국내창업전문기관(KoEF) |
국외창업전문기관(KIC)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▪국내 인스트럭터 양성 및 풀 관리 |
▪해외교육 프로그램 운영, 멘토링 지원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▪국내 교육 커리큘럼 및 콘텐츠 개발·운영 |
▪국내 고객발굴 교육 지원(국외인스트럭터 연계 등)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▪실험실창업탐색팀 교육 총괄 및 창업문화 확산 |
▪해외 고객발굴 교육 총괄 추진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(국내 인스트럭터 지원 등) |
(국외 창업교육 지원 등)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실험실창업혁신단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서울1 (강북,강원) |
서울2 (강남,경기) |
동부1 (대경) |
동부2 (부산,울산,경남,제주) |
서부1 (충청) |
서부2 (호남) |
여성 특화형 |
해외 특화형 |
||||||||||||||||||||||
▪실험실창업탐색팀 발굴·모집 ▪실험실창업탐색팀 관리 ▪국내 창업탐색활동 지원 ▪시제품 제작/사업화 연계 지원 ▪멘토링 지원 ▪실험실창업탐색팀의 창업기업 설립 지원 및 성과 후속관리 등 |
|
- 4 -
실험실창업탐색팀 선정
Ⅱ
1. 실험실창업탐색팀 공모
○ 공공연구성과를 기반으로 창업하고자 하는 대학 소속 석·박사 과정 재학생, Post- Doc, 출연(연)* 연구원으로 구성된 예비창업팀
* “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·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”에 따른 연구소
- 예비창업대표(EL), 예비창업멤버(EM), 창업지도자(PM), 기술지도교수(PI) 등으로 실험실창업탐색팀을 구성하여 신청
※ EL, PM, PI는 반드시 1명씩 포함해야 하며, EM(최대 3명까지 참여 가능)은 권장사항임
- 여성 실험실창업탐색팀은 EL과 EM의 1/2이상을 여성으로 구성하여 신청
실험실창업탐색팀 공모·선정(과기정통부 및 전문기관) |
||||||||||||||
↗ |
↑ |
↑ |
↑ |
↑ |
↑ |
↖ |
||||||||
고려대 (수도권1) |
성균관대 (수도권2) |
KAIST (충청권) |
POSTECH (대경권) |
신규★ (호남권) |
신규★ (동남권) |
숙명여대 (여성 특화형) |
||||||||
사업 신청 |
||||||||||||||
↑ |
↑ |
↑ |
↑ |
↑ |
↑ |
↑ |
||||||||
탐색팀n |
탐색팀n |
탐색팀n |
탐색팀n |
탐색팀n |
탐색팀n |
탐색팀n |
||||||||
서울 (강북,강원) |
서울 (강남,경기) |
충청 |
대경 |
호남 |
부산,울산,경남,제주 |
권역 구분없음 |
2. 선정방향
○ 실험실창업혁신단 배정
- 실험실창업탐색팀 선정 결과에 따라, 해당 팀이 신청하지 않은 타 권역의 실험실창업혁신단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
- 5 -
3. 팀 구성 원칙
○ (참여유형) 예비창업대표(EL, Entrepreneurial Leader), 예비창업멤버(EM, Entrepreneurial Member), 창업지도자(PM, Project Manager), 기술지도교수(연구원) (PI, Principal Investigator) 등 4가지 형태
○ (팀 구성) EL, PM, PI는 반드시 1명씩 포함해야 하며, EM의 포함은 권장 사항임(단, EM은 최대 3명까지 참여 가능)
* 실험실창업탐색팀 신청 시 EL과 EM은 반드시 1개 팀에만 참여할 수 있으나, PM과 PI는 참여팀 수에 제한이 없음
* EL과 EM·PI의 소속기관이 달라도 무방함 (단, 과제 신청은 EL이 소속된 기관을 통해야 함)
<유형별 참여 자격> |
||
유형 |
대학 팀 |
연구소 팀 |
예비창업대표(EL) /예비창업멤버(EM) |
· 석·박사과정 재학생(휴학생 가능) |
· 정부출연(연) 소속 연구원 |
※ 예비창업멤버(EM) 및 여성탐색팀 예비창업대표(EL) 경우 실험실 창업 관련 역량을 보유한 학부생도 참여 가능 |
||
창업지도자(PM) |
· EL 소속 대학의 창업교육센터, 산학협력단, 기술사업화센터, 기술지주회사 등 기술창업 업무를 총괄할 수 있는 기구의 교원 또는 직원 |
· EL 소속 정부 출연(연)의 기술사업화센터 등 연구원의 기술창업 업무를 총괄할 수 있는 기구의 전담직원 |
기술지도교수(PI) |
· 실험실창업탐색팀에 연구실의 기술 및 노하우를 제공하였거나 향후 제공하고자 하는 대학교수 |
· 실험실창업탐색팀에 연구실의 기술 및 노하우를 제공하였거나 향후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원 |
- 6 -
4. 사업신청
○ 실험실창업탐색팀(EL 기준)이 소속되어 있는 기관의 소재 권역의실험실창업혁신단에 아래 유형을 선택하여 신청
유형 |
신청대상 |
신청방법 |
선발예정 |
국내교육형 |
국내에서만 창업교육을 희망하는 팀 |
해당 권역 혁신단에 신청 |
10개팀 내외 |
해외교육형 |
국내+해외 창업교육을 희망하는 팀 |
해당 권역 혁신단에 신청 |
83개팀 내외 |
여성특화형 |
국내교육형 또는 해외교육형 + 여성특화 창업교육을 희망하는 팀 |
해당 권역 또는 여성특화형 혁신단에 신청 |
구분 없음 |
5. 선정 방법 및 절차
○ (평가내용) 창업탐색 아이템의 참신성, 핵심기술의 우수성, 시제품제작 계획의 적절성, 탐색팀 구성의 적합성, 영어활용능력*, 사업참여의지 등
* 국내교육형 실험실창업탐색팀은 제외
○ (평가방법)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평가위원의 산술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최종점수를 산출하여 평가
○ (선정절차) 각 실험실창업혁신단에서 발굴·모집한 실험실창업탐색팀에 대해 서류(1차)→발표(2차) 평가를 통해 고득점순으로 선정
※ 실험실창업탐색팀 중 중도포기팀 발생 등을 대비해 예비팀 추가 선정
<실험실창업탐색팀 선정 절차>
모집 |
|
1차 평가 (서류) |
|
2차 평가 (발표) |
|
최종 선정 |
|||||||
실험실창업혁신단 |
전문기관 |
전문기관 |
전문기관 |
||||||||||
↓ |
↓ |
↓ |
|||||||||||
각 혁신단이 실험실창업탐색팀을 발굴하여 지원 |
1차 서류평가를 통해 2차 발표평가 대상 팀 선발 |
2차 발표평가를 통해 지원대상 팀 최종 선발 |
- 7 -
※ 접수 결과에 따라 서면평가 생략 가능
6. 실험실창업탐색팀 선정 평가 지표
○ (공통)1차 서면평가
평가항목 |
평가의 주안점 |
배점 |
창업탐색 아이템 |
실험실창업(탐색) 아이템의 참신성 - 창업탐색 아이템의 컨셉, 주요 (목표)고객 및 시장, 타 제품(서비스)과의 차별성, 아이템의 시장성 등 |
30 |
핵심 기술 |
실험실창업(탐색) 핵심기술의 우수성 - 실험실 창업(탐색) 아이템을 실현할 핵심기술의 우수성 등 |
40 |
핵심기술 확보계획의 적절성 - 핵심기술의 지식재산 보유여부, 핵심기술 확보계획, 핵심기술의 완성도 및 up- grade 계획 등 |
||
사업화 계획 |
실험실창업(탐색) 시작품(시제품) 제작계획의 적절성 - 창업(탐색) 아이템 검증 및 구체화를 위한 시작품(시제품) 제작 계획 등 |
10 |
사업화 추진계획의 적절성 - 창업(탐색) 아이템의 사업화 추진일정 등 |
||
창업탐색팀 |
실험실창업탐색팀 구성의 적합성 - 실험실창업탐색팀의 인적구성, 창업지도자(PM)와 기술지도교수(PI)의 역할 등 |
20 |
○ (해외교육형) 2차 발표평가 지표
평가항목 |
평가의 주안점 |
배점 |
창업탐색 아이템 |
실험실창업(탐색) 아이템의 참신성 - 창업탐색 아이템의 컨셉, 주요 (목표)고객 및 시장, 타 제품(서비스)과의 차별성, 아이템의 시장성 등 |
25 |
핵심 기술 |
실험실창업(탐색) 핵심기술의 우수성 - 실험실 창업(탐색) 아이템을 실현할 핵심기술의 우수성 등 |
30 |
핵심기술 확보계획의 적절성 - 핵심기술의 지식재산 보유여부, 핵심기술 확보계획, 핵심기술의 완성도 및 up- grade 계획 등 |
||
사업화 계획 |
실험실창업(탐색) 시작품(시제품) 제작계획의 적절성 - 창업(탐색) 아이템 검증 및 구체화를 위한 시작품(시제품) 제작 계획 등 |
5 |
사업화 추진계획의 적절성 - 창업(탐색) 아이템의 사업화 추진일정 등 |
||
창업탐색팀 |
실험실창업탐색팀 구성의 적합성 - 실험실창업탐색팀의 인적구성, 창업지도자(PM)와 기술지도교수(PI)의 역할 등 |
10 |
영어활용능력* |
창업탐색팀의 영어활용능력 - 미국시장에서의 고객발굴시 인터뷰 가능 여부 등 |
15 |
참여 의지 |
창업탐색팀의 사업 참여 의지 - 사업에 대한 이해도, 사업 참여 태도 및 의지, 교육 참여도 등 |
15 |
(시장 적합도) |
창업탐색 아이템의 미국시장 적합도 - 미국 시장에 대한 이해 정도, 미국 시장에서의 사업성 여부 등 |
(15) |
- 8 -
○ (국내교육형) 2차 발표평가 지표
평가항목 |
평가의 주안점 |
배점 |
창업탐색 아이템 |
실험실창업(탐색) 아이템의 참신성 - 창업탐색 아이템의 컨셉, 주요 (목표)고객 및 시장, 타 제품(서비스)과의 차별성, 아이템의 시장성 등 |
30 |
핵심 기술 |
실험실창업(탐색) 핵심기술의 우수성 - 실험실 창업(탐색) 아이템을 실현할 핵심기술의 우수성 등 |
35 |
핵심기술 확보계획의 적절성 - 핵심기술의 지식재산 보유여부, 핵심기술 확보계획, 핵심기술의 완성도 및 up- grade 계획 등 |
||
사업화 계획 |
실험실창업(탐색) 시작품(시제품) 제작계획의 적절성 - 창업(탐색) 아이템 검증 및 구체화를 위한 시작품(시제품) 제작 계획 등 |
10 |
사업화 추진계획의 적절성 - 창업(탐색) 아이템의 사업화 추진일정 등 |
||
창업탐색팀 |
실험실창업탐색팀 구성의 적합성 - 실험실창업탐색팀의 인적구성, 창업지도자(PM)와 기술지도교수(PI)의 역할 등 |
10 |
참여 의지 |
창업탐색팀의 사업 참여 의지 - 사업에 대한 이해도, 사업 참여 태도 및 의지, 교육 참여도 등 |
15 |
7. 사업비 지원
○ 실험실창업탐색팀당 총괄 지원금액
- 창업교육 단계별 중간점검 결과에 따라 40~70백만원 내외
※ 상기 금액은 실험실창업탐색팀의 창업지원과 관련된 일체 제반 비용(공통교육비용, 창업탐색비 등)을 모두 포함한 금액이며, 참가 팀의 규모(인원수)에 따라 변동 가능
※ 창업탐색비 지원 금액의 경우 팀별 평가결과에 따라 팀당 25백만원 내외로 차등 지급(상기 금액에 포함)
□ 지원 항목 및 세부내용
항목 |
세부 내용 |
비 고 |
기초 및 실전 창업교육 |
- 국내・외 창업전문기관에서 지원하는 총괄 교육 프로그램 - 국내 실험실창업혁신단에서 지원하는 멘토링 등 교육 프로그램 - 강사료, 교육 참여 여비, 숙박비, 시장조사 교통비 등 |
|
창업탐색비 |
- 전문가활용비, 재료비, 기자재 구입비, 지식재산권 출원비 등 |
교육 성과평가, 출석 및 참여도 등 평가 결과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,팀별 차등 지원 |
창업 활동비 |
- 제품 홍보비, 홍보물 제작비 |
|
연구수당 |
- 참여율에 해당하는 연구수당을 지급 |
지급한도 제한 (월 30만원 이내) |
기타 사업운영 경비 |
- 국내외 여비, 소모품비 등 |
※ 고가 장비 등은 권역별 실험실
- 9 -
□ 사업비 관리
○ 실험실창업탐색팀에 지원되는 해외교육 관련 사업비는 국외창업전문기관이, 국내교육 총괄 사업비는 국내창업전문기관이 직접 집행관리
○ 실험실창업탐색팀 지원비(교육 프로그램 운영비, 창업탐색비 등)는 권역별 실험실창업혁신단이 직접 집행관리
※ 창업탐색팀 소속기관(대학, 실험실)에 교부하지 않고, 실험실창업혁신단에서 매 사안별로 직접 집행
※ 국내외 창업전문기관이 교육단계·과제별 특성에 따라 한도를 설정하여 지원‧관리
※ 정당한 사유없이 창업탐색활동을 중단하는 등 국내·외 교육시 사업 참여 태도가 불성실한 팀을 대상으로 국내외 교육비 및 창업탐색비 등 환수 가능
8. 실험실창업탐색팀의 권리와 의무
□ 권리
○ 해외교육 참여 : 선발된 창업탐색팀에 대해 해외 창업전문기관이 본 사업과 관련하여 개설한 온라인/오프라인 교육(멘토링 포함) 프로그램의 참여 및 이용
- 단, 해외교육형팀에 한하며 팀별 참여 가능 인원은 선정된 팀의 전체 수요를 파악한 후 실험실창업혁신단이 조정 예정
○ 국내교육 참여 : 국내 창업전문기관과 실험실창업혁신단이 본 사업과 관련하여 개설한 온라인/오프라인 교육(멘토링 및 인큐베이팅 포함) 프로그램 참여 및 이용
- 단, 국내교육형 팀의 경우 국내 기초창업교육 이외에 별도의 美 I- corps 방법론을 활용하여 국내에서 실전 창업 교육 추진
- 또한, 단계 심화교육은 2단계 교육을 통해 GO를 선택한 팀만 참여 가능
○ 비용 청구 : 실험실창업탐색팀 활동과 관련된 제반경비(재료비, 여비 등)를 창업전문기관 또는 실험실창업혁신단에 청구 가능
- 10 -
- 단, 팀별로 할당된 예산 범위 내에서 청구 가능(세부 집행 기준과 방법은 실험실창업혁신단이 추후 안내)
□ 의무
○ 교육 참여 : 국내 및 해외 창업전문기관, 실험실창업혁신단이 개설한 온라인/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의 참여
○ 보고서 제출 : 한국연구재단, 국내・외 창업전문기관, 실험실창업혁신단이 상시(사업 참여 기간 중 또는 종료 후)로 요청하는 각종 보고서(중간보고서, 결과보고서 등)
○ 과제 수행 : 제출한 신청서에 근거하여 시장연계 창업탐색 활동 수행 (창업 아이템 변경 등 계획변경 사항 발생 시는 실험실창업혁신단의 승인을 받아야 함)
- 사업기간 동안 신청서 내의 계획에 따라 창업 기술(아이템)을 확정하고, 비즈니스 모델 설계를 완료하여야 함
○ 창업기업 설립 : 동 사업의 성과 제고를 위하여 실험실창업탐색팀은 사업기간 내 창업기업 설립을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함
○ 성과 조사 : 연구재단·실험실창업혁신단이 상시(사업 참여 기간 중 또는 종료 후)로 요청하는 창업팀 성과추적조사에 응할 의무가 있음
○ 중도탈락제 : 인터뷰 수, 집체교육 횟수, 교육참여태도 등 일정 기준의 하한을 충족하지 못하는 불성실 팀은 중도탈락
※ 정당한 사유없이 창업탐색활동을 중단하는 등 국내·외 교육시 사업 참여 태도가 불성실한 팀을 대상으로 중도탈락시킬 수 있으며, 국내외 교육비 및 창업탐색비 등 환수 가능
○ 공고문에 안내된 첨부1(EL 및 EM 서약서), 첨부2(PL 확약서) 서명 제출 필수
- 11 -
실험실창업탐색팀 교육 및 창업보육
Ⅲ
<교육 추진 프로세스> |
|||||||||
기초 창업교육 |
실전 창업교육 |
창업 보육 |
|||||||
구분 |
합숙교육 Boot Camp |
권역별 맞춤형 창업교육 |
|
<국내> |
<해외교육형> |
|
심화교육 및 시제품 제작지원 |
최종 수료식 (전시/IR피칭) |
|
실전 창업 교육Ⅰ Opening workshop |
美 실전 창업 교육Ⅱ |
||||||||
<국내교육형> |
|||||||||
국내 실전 창업 교육 Ⅱ |
|||||||||
(공통)Closing Workshop |
|||||||||
주관 |
KoEF |
KoEF 혁신단 |
KoEF |
(해외)KIC- D.C/(국내)KoEF |
혁신단 |
NRF KoEF |
|||
일정 |
5월 중 |
6월 초 |
6월 중 |
7~8월 중 |
9~‘21.1월중 |
’21.2월중 |
1
□ 기초 창업 교육
○ 기초 창업교육 위주의 합숙교육 및 권역별 맞춤 교육 추진
- (합숙교육) 실험실창업 교육 효율성 증대를 위해 사업에 대한 이해도 제고 등 인스트럭팅 중심의 집체 기초창업 공통교육 실시
- (권역별 맞춤교육) 국내창업전문기관 커리큘럼을 반영한 권역별 창업집체 교육 및 초기 창업 아이템에 대한 개별 멘토링 등 실시
□ 실전 창업 교육
○ 공통실전교육Ⅰ 및 美 NSF I- Corps 방법론 학습을 위한 실전교육Ⅱ 추진
구분 |
교육 사항 |
|
공통실전교육Ⅰ |
해외교육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사전 국내 집체교육 추진 - Lean Startup 방법론 정리 및 국내 Customer discovery 실시 등 |
|
실전교육Ⅱ |
해외 교육형 |
美 NSF I- Corps 프로그램을 활용한 현지 실전 교육 추진 - 해외 시장 대상 집중 Customer Discovery 실시 등 |
국내 교육형 |
美 NSF I- Corps 프로그램의 국내 접목을 통한 실전 교육 추진 - 국내 시장 대상 집중 Customer Discovery 실시 등 |
※ 공통 사항 : 잠재고객 발굴(Customer Discovery)을 통한 Business Model 완성 목표 추진 |
- 12 -
□ 실험실창업혁신단 창업 보육
○ 기술사업화 코칭 중심의 심화교육 및 시제품 제작 지원 추진
- 비즈니스모델 구축 심화과정, 실험실창업탐색팀 아이템별 집중 멘토링, 마케팅 지원 등 심화 교육 추진 등 심화교육과 MVP (Minimum Viable Product,최소기능제품) 제작 지원*
* 기초·실전창업교육 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
< 교육 세부 사항> |
||||
구분 |
교육 프로그램 |
세부 내용 |
||
기초 창업교육 |
합숙 교육 (Boot Camp) |
○ 실험실창업 교육 효율성 증대를 위한 집체 교육 ○ 탐색팀의 아이템 완성도와 창업단계를 확인 추진 ○ 창업단계별 공통교육을 통한 기본기 확인 후 필요한 단계별 교육 실시 ※ 인스트럭팅 중심의 교육 |
||
맞춤형 교육 (권역별 교육) |
○ 국내 인스트럭터를 활용한 창업탐색교육 고도화 지원 등 ○ 실험실창업 교육 효율성 증대를 위한 권역별 사전 집체 교육 ※ 인스트럭팅 및 멘토링 중심 교육, KoEF 주관 |
|||
[1차 중간 점검] 기초 교육 참여도 및 성실도에 대한 후속지원 반영 |
||||
실전창업 교육 |
실전 교육Ⅰ |
Opening Workshop |
○ 해외교육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사전 국내 집체교육 실시 ○ 시장조사 중심의 창업아이템 · 사업화모델 개선 활동 ○ Lean Startup 방법론 정립 및 국내 Customer Discovery 실시 |
|
실전교육 Ⅱ |
해외교육형 |
잠재고객 집중 발굴 실전교육 |
○ NSF 아이코어 프로그램 활용한 미국 현지 교육 - 아이템별 인스트럭터 배치 및 고객발굴 방향 설정 등 추진 ○ 해외 인스트럭터를 활용한 미국 시장 대상 고객발굴 교육 실시 |
|
국내교육형 |
○ NSF 아이코어 프로그램의 국내 적용을 통한 국내 집중 교육 ○ 국내 인스트럭터를 활용한 국내 시장 대상 집중 고객발굴 교육 및 실험실기술 특강 실시 |
|||
공통 |
Closing Workshop |
○ 기초·실전 창업교육 성과 점검 추진 |
||
[2차 중간 점검] 교육 성과점검 결과를 통해 후속지원 여부 결정 |
||||
창업보육 |
시제품 제작 지원 |
사업화 코칭 및 멘토링 (상시) |
○ 창업아이템 가시화를 위한 창업탐색비 지원 및 시제품 제작 추진 ○ 고객·시장 기반 피드백을 통한 Business model 맞춤 고도화 창업코칭추진 ○ 공동 멘토링/개별 멘토링/온라인 멘토링 등 지원 |
|
기타 |
여성특화 창업교육 |
○ 창업아이템 분석 결과에 따른 여성창업 집중 육성분야에 대한 아이템별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○ 여성창업 우수사례 및 롤 모델 공유의 腸 마련을 통해 여성 대상 창업인식 개선 추진 ○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연계 여성창업 맞춤 프로그램 운영 ○ 서울 여성 창업 컨퍼런스(Kickstart Women’s Summit 2020)를 통한 여성창업팀 네트워크 형성 및 성장 지원 |
||
후속 지원 |
후속 해외 시장탐색 지원 |
○ (선별)우수 창업팀에 대하여 후속 해외 시장탐색을 통한 수정·보완 된 창업아이템의 2차 시장 검증 기회 제공 |
||
[최종수료식] 투자연계 유치 및 우수 창업아이템 전시 |
- 13 -